알라 웃딘 무함마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1200년 아버지 알라 앗딘 테키쉬의 뒤를 이어 호라즘 제국의 술탄이 되었다. 그는 고르 왕조를 멸망시키고 중앙아시아를 장악하여 제국의 최대 영토를 확보했으나, 몽골 제국의 침략을 받아 붕괴했다. 몽골과의 충돌 과정에서 무능한 군사 전략과 내부 분열로 인해 제국이 멸망했으며, 그는 도주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9년 출생 - 나스노 요이치
나스노 요이치는 겐페이 전쟁 시기에 활약한 무사로, 야시마 전투에서 배에 걸린 부채를 명중시킨 일화로 유명하며, 시모쓰케국에서의 나스 씨 발전에 기여했다. - 1169년 출생 - 알렉시오스 2세 콤니노스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아들인 알렉시오스 2세 콤니노스는 어린 나이에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섭정들의 실정으로 혼란에 빠진 제국에서 안드로니코스 1세 콤네노스에게 살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 1220년 사망 - 프랑스의 아녜스
프랑스의 공주 아녜스는 비잔티움 제국 황제 알렉시우스 2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나, 권력 찬탈로 인해 안드로니코스 1세와 강제로 결혼한 후 테오도르 브라나스와 재혼하며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1220년 사망 - 볼프람 폰 에셴바흐
볼프람 폰 에셴바흐는 중세 독일의 기사이자 시인으로, 성배를 주제로 한 독일 문학 작품 중 현존하는 최초의 작품인 《파르치팔》을 비롯한 여러 작품을 통해 후대 문학, 예술,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칭기즈 칸 - 몽골 제국
몽골 제국은 1206년 칭기즈 칸에 의해 건국되어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하고 동서 교류를 촉진했으나, 몽케 칸 사후 분열되어 쇠퇴하여 멸망한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차지했던 제국이다. - 칭기즈 칸 - 몽케 칸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인 몽케 칸은 1251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출되어 금나라 정벌, 유럽 원정 참여, 중앙 정부 강화, 무역로 확보, 고려 항복, 훌라구를 통한 이란-이라크 원정 성공, 룸 술탄국 정벌, 티베트-대리국 평정 등 광범위한 영토 확장을 이끌었으나 남송 정벌 중 병사하며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알라 웃딘 무함마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제2의 알렉산더 |
군주 | 호라즘 제국의 샤 |
재위 기간 | 1200년 ~ 1220년 |
즉위 | 1200년 |
선임자 | 알라 앗딘 테키시 |
후임자 | 잘랄 웃딘 망구베르디 |
섭정 | 테르켄 카툰 (알라 앗딘 테키시의 아내) |
공동 통치자 | 테르켄 카툰 |
출생일 | 1169년 |
사망일 | 1220년 |
사망 장소 | 카스피해 |
배우자 | 아이 치체크 카툰 |
자녀 | 잘랄 앗딘 밍부르누 쿠투즈 (딸의 아들) |
풀 네임 | 라캅: 알라 앗딘 (짧게), 이스칸다르-이 사니 쿠냐: 아불-파타 이름: 무함마드 튀르크어 별명: 산자르 나사브: 무함마드 이븐 테키시 이븐 일-아르슬란 이븐 아츠즈 이븐 무함마드 이븐 아누슈테긴 |
왕가 | 아누슈테긴 가 |
아버지 | 알라 앗딘 테키시 |
어머니 | 테르켄 카툰 (알라 앗딘 테키시의 아내) |
종교 | 수니 이슬람 |
2. 생애
아버지 테키쉬 대에 급속히 확대된 화레즘 제국의 세력을 계승하여, 1204년 고르 왕조의 시하브 웃딘 무함마드(무함마드 고리)의 호라산 침공을 격퇴하고, 헤라트를 빼앗았다. 1206년 시하브 웃딘 사후 혼란을 틈타 고르 왕조 영토를 침공, 1215년에는 고르 왕조를 완전히 멸망시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방면으로 세력을 확대했다.
1210년 중앙아시아의 서요(西遼)와 오랜 우호 관계를 단절하고, 타라스강 하류에서 서요군을 격파하여 중앙아시아로 세력을 확대, 암강과 시르다리야강 사이의 마와라안나흐르(현 우즈베키스탄 중부)를 세력권에 넣었다. 1212년 서카라한 왕조를 멸망시키고, 마와라안나흐르를 직할 통치하며 중심 도시 사마르칸트를 지배했다. 서쪽에서는 이란으로부터 이라크에 진출하여 아바스 왕조를 압박하여, 화레즘 제국의 최대 전성기를 이룩하였다.
같은 시기, 몽골 고원을 통일하고 중앙 아시아 동부로 진출하여 서요를 병합한 몽골 제국의 칭기즈 칸과는 초기에 우호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1218년 오트라르에서 몽골 제국이 파견한 통상 사절단을 오트라르의 총독 이날추크가 간첩 혐의로 살해하는 오트라르 사건이 발생하면서 관계가 악화되었다. 이듬해인 1219년 몽골군의 대규모 침공을 받았다.
화레즘 제국은 군대를 집중하지 못하고 각 도시에 분산 배치하여 몽골군에게 각개격파 당했다.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사마르칸트에 있었지만, 몽골의 침공 소식을 듣고 주민들에게 스스로를 지키라고 말한 채 도망쳤다. 이후 이 지역은 철저하게 몰살당하면서 12세기 이전으로 회복하는 데에 몇 백 년이 걸렸다. 1219년 이란으로 달아나 1220년 12월 카스피해의 아바스쿤 섬에서 병으로 급사하였다. 니샤푸르(현 이란 라자비 호라산 주 네이샤브르)에 잠시 들렀지만,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재기를 도모하기는커녕 직무를 게을리했다고 한다. 사후, 아들 잘랄 웃딘이 화레즘 제국의 술탄을 칭하며 몽골군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2. 1. 즉위
테키쉬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알라 웃딘 무함마드가 화레즘 샤 왕조의 술탄으로 즉위하였다.[10] 즉위 직후, 구르의 기야스 앗딘 고리와 무이즈 앗딘 형제가 호라산을 침공하여 니샤푸르를 점령하는 등 위협했지만,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이들을 격퇴하고 오히려 헤라트를 빼앗는 등 반격에 성공했다.[2][3] 1206년 무이즈 앗딘 사후 혼란을 틈타 고르 왕조 영토를 침공, 1215년에는 고르 왕조를 완전히 멸망시키고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방면으로 세력을 확대했다.알라 웃딘 무함마드의 어머니 테르켄 하툰은 칸클리족 출신으로, 호라즘 샤 왕조 군사력의 핵심인 칸클리족의 지도자적 지위에 있었다.[11] 테르켄 하툰은 술탄과 동등한 권력을 행사했으며,[12] 알라 웃딘이 획득한 영토의 대부분을 분배받았고, 그녀의 측근은 왕이라도 처벌할 수 없을 정도였다.[13]
2. 2. 초기 통치와 영토 확장
테키쉬가 사망한 후 알라 웃딘 무함마드가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즉위 직후 고르 왕조의 시하브 웃딘 무함마드(무함마드 고리)가 호라산을 침공해왔다.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종주국인 카라 키타이의 원군과 함께 고르군을 격퇴했다.[14] 이 승리 후, 고르 왕조가 지배하던 헤라트, 발흐를 점령하여 호라산 지역 전체를 지배하게 되었고, 마잔다란, 케르만으로 세력을 확대했다.[16]1203년 헤라트에서 기야스가 병으로 사망하자, 무함마드 2세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구르 제국 영토를 침략하여 헤라트를 포위했다. 그러나 무이즈는 헤라트에서 그를 격퇴한 후, 호라즘까지 추격하여 그의 수도인 구르간지를 포위했다. 무함마드는 카라 키타이 칸국에 지원을 요청했고, 카라 키타이는 무함마드를 돕기 위해 군대를 보냈다. 카라 키타이의 압박으로 인해 무이즈는 포위를 풀고 퇴각해야 했다. 그러나 구르로 돌아가는 길에 1204년 안드후드 전투에서 패배했다.[4][5]
알라웃딘 즉위 이전부터 호라즘 제국의 술탄들은 불교 국가인 카라 키타이에 공납을 계속 지불하고 있었으며, 알라웃딘과 호라즘 제국 국민은 우상 숭배하는 이교도에게 공납을 바치는 것을 견딜 수 없다고 생각했다.[16] 히즈라력 605년 (1208년 - 1209년)에 호라즘군은 카라 키타이 영토에 침입했지만, 전투에서 패배하여 알라 웃딘은 포로가 되었다.[18] 그는 측근의 기지로 노예 신분을 위장하여 귀국했다.[18]
히즈라력 606년 (1209년 - 1210년)에 카라 키타이를 찬탈하려는 나이만족 쿠츨루크의 요청을 받아[19], 서 카라한 왕국의 술탄 우스만과 함께 다시 카라 키타이를 공격한다. 1210년에 타라스 강변에서 카라 키타이 군대를 격파하고,[20] 투르키스탄의 카라 키타이 영토 일부를 병합했다.[18] 이교도에 대한 승리는 호라즘 국내뿐만 아니라 주변의 왕후들에게도 칭송받았고, 사람들은 그에게 "제2의 알렉산더"라는 칭호를 부여하려고 했다.[21]
2. 3. 중앙아시아 제패
서요와 오랜 우호 관계를 단절하고 1210년 타라스강 하류에서 서요군을 격파하여 중앙아시아로 세력을 확장했다.[18][20] 암강과 시르다리야강 사이의 마와라안나흐르(현 우즈베키스탄 중부)를 세력권에 넣었다. 1212년에는 서카라한 왕조를 멸망시키고 마와라안나흐르를 직할 통치하며 중심 도시 사마르칸트를 지배했다.[22]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건 | 내용 |
---|---|
서요와의 단교 및 전쟁 | |
서카라한 왕조 멸망과 사마르칸트 점령 | |
마와라안나흐르 지배와 수도 이전 | 서카라한 왕조 병합 후, 알라 웃딘은 아무다리야 강과 시르다리야 강 사이의 마와라안나흐르를 장악하고 수도를 사마르칸트로 옮겼다.[22] |
2. 4. 아바스 왕조 압박
알라 웃딘은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화레즘 제국의 힘을 바탕으로 아바스 왕조를 압박했다. 1215년 가즈나를 점령한 후, 칼리프 나시르가 고르 왕조 술탄들에게 보낸 서신을 발견했는데, 그 내용은 화레즘 제국의 동향을 주의하고 영토 공격을 선동하는 것이었다.[27][25] 이에 알라 웃딘은 나시르에게 강한 적대감을 품게 되었다.[26]같은 해, 알라 웃딘은 아바스 왕조에게 금요 예배(Khutbah영어)에 자신의 이름을 넣고, 술탄 칭호를 부여하며, 바그다드에 대관을 설치하라고 요구하며 셀주크 왕조 술탄들과 같은 특권을 요구했다.[26] 그러나 요구가 거절되자, 울라마들의 동의를 얻어 알리의 후예를 칼리프로 세우려 했다.
아바스 왕조의 요청을 받아 이란 서부(이라크 아자미)로 진군한 아타베크 정권인 쉬라즈의 살굴 왕조, 타브리즈의 일 듀귀즈 왕조(일데기즈 왕조)를 격파하고 신하 국가로 만들었다.[28] 1217년에서 1218년에는 이라크 아자미를 지배하에 두고 하마단을 거점으로 삼았지만, 아바스 왕조의 평화 제안을 거절했다.[29] 그러나 Asadabad, Iran|아사다바드영어에서 추위와 강설, 현지 튀르크인과 쿠르드인의 공격으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30] 결국 알라 웃딘은 몽골 제국 사절에 대응하기 위해 아들 루크 누딘에게 이라크 아자미 통치를 맡기고 투르키스탄으로 돌아갔다.[31]
2. 5. 몽골 제국과의 충돌과 멸망
몽골 제국과의 초기 관계는 우호적이었다. 칭기즈 칸은 금나라를 정복한 후 무역 관계를 맺고자 했으나, 알라 웃딘은 몽골에 대한 과장된 보고를 듣고 이를 침략 의도로 오해했다.[8] 칭기즈 칸은 무역로 개설을 위해 사절단을 보냈지만, 알라 웃딘은 그의 삼촌인 이날추크를 시켜 사절단을 간첩 혐의로 체포하고 물품을 압수했다.[8] 칭기즈 칸은 다시 사절을 보내 이날추크의 처벌을 요구했으나, 알라 웃딘은 사절을 처형하고 상인들의 물품을 압수했다.[9]이러한 일련의 사건은 1218년 오트라르에서 발생한 오트라르 사건으로, 몽골 제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오트라르의 총독 이날추크는 몽골 제국에서 파견한 통상 사절단을 간첩 혐의로 체포하고 처형했다.[35] 알라 웃딘은 이날추크의 처벌을 요구하는 몽골 사절을 처형함으로써 몽골과의 전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36]
1219년 가을, 칭기즈 칸은 보복으로 10만에서 15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호라즘 제국을 침공했다.[9] 몽골군은 사마르칸트, 부하라, 오트라르 등 주요 도시들을 약탈했다.[9]
같은 해 여름, 알라 웃딘은 수부타이가 이끄는 몽골군과 카라쿰 전투에서 맞붙었다. 알라 웃딘이 이끄는 호라즘 군대는 몽골군의 분전에 고전했고, 아들 잘랄 웃딘의 도움으로 간신히 위기를 모면했다.[37] 이 전투는 호라즘 군대의 취약성을 드러냈고, 알라 웃딘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37]
호라즘 제국은 군대를 집결하지 못하고 각 도시에 분산 배치하여 몽골군에게 각개격파 당했다. 알라 웃딘은 1220년 4월 사마르칸트를 포기하고 도주하면서 주민들에게 스스로를 지키라고 말했다.[38][39] 이후 니샤푸르와 카즈빈을 거쳐 카스피해의 아바스쿤 섬으로 피신했다.[44]
알라 웃딘은 1220년 12월 아바스쿤 섬에서 병으로 사망했다.[47] 그는 죽기 직전 아들 잘랄 웃딘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호라즘 제국의 재건을 맡겼다.[46] 그의 시신은 섬에 매장되었으나, 이후 다마반드산 위의 성채로 옮겨졌다가 몽골의 오고타이에게 보내져 불태워졌다.[49]
3. 평가
일 칸국의 역사가 주바이니와 라시드 웃딘은 알라 웃딘을 우유부단하고 겁이 많은 인물로 묘사했으나,[50] 동시대 역사가인 이븐 알 아시르는 그의 인격과 지식을 칭찬했다.[51]
3. 1. 부정적 평가
일 칸국의 역사가 주바이니, 라시드 웃딘은 모두 알라 웃딘을 우유부단하고 겁이 많은 인물로 묘사했다.[50] 그들에 따르면, 알라 웃딘은 도망 중에 니샤푸르에 3주간 들렀을 때, 재기를 도모하기는커녕 직무를 게을리하고 연회와 음악에 몰두했다고 한다.[51] 그러나 역사학자 바실리 바르톨트는 알라 웃딘이 니샤푸르에 3주간 체류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47]한편, 동시대 역사가인 이븐 알 아시르는 알라 웃딘의 인격과 지식을 칭찬했다.[51]
4. 호라즘 샤 왕조 붕괴 원인 분석
호라즘 제국이 몽골 제국의 침공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멸망한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급격한 영토 확장에 비해 내부적으로 불안정했다. 무함마드는 어머니 및 친족 부족과의 갈등으로 군사력을 온전히 통합하기 어려웠다.[38]
둘째, 군사 전략의 실패이다. 무함마드는 몽골군에 맞서 군대를 한 곳에 집중하는 대신 여러 도시에 분산 배치했고, 이는 각개격파로 이어졌다.[38]
셋째, 지도층의 대응 방식에 대한 논란이다. 무함마드가 사마르칸트를 포기하고 도주한 것을 두고 무책임하다는 비판[51]과, 몽골군을 유인해 장기전을 꾀하려 했다는 옹호론[53]이 엇갈린다.
4. 1. 급격한 영토 확장과 취약한 지배 체제
화레즘 제국은 아버지 대에 급속히 확대되었고,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이를 계승했다. 1204년 고르 왕조의 시하브 웃딘 무함마드(무함마드 고리)가 호라산을 침공했으나, 무함마드는 이를 격퇴하고 헤라트를 빼앗았다. 1206년에는 시하브 웃딘 사후 혼란을 틈타 고르 왕조 영토를 침공, 1215년에 완전히 멸망시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방면으로 세력을 넓혔다.[1]1210년, 무함마드는 오랜 우호 관계였던 중앙아시아의 서요(西遼)와 단교하고, 타라스강 하류에서 서요군을 격파하여 중앙아시아로 세력을 확장했다. 암강과 시르다리야강 사이의 마와라안나훌(현 우즈베키스탄 중부)을 점령하고, 1212년에는 서 카라한 왕조를 멸망시켜 마와라안나훌을 직할지로 삼아 중심 도시 사마르칸트를 지배했다. 서쪽으로는 이란에서 이라크로 진출, 아바스 왕조를 압박하여 화레즘 제국의 최대 전성기를 이룩했다.[1]
그러나 화레즘 제국은 급격한 영토 확장에 비해 취약한 지배 체제를 가지고 있었다. 무함마드는 어머니 및 그 친가인 칸그리 부족과의 대립이 깊었고, 이는 군대 규합 및 전투에 어려움을 초래했다. 사이가 나쁜 유목민이 전선을 이탈하거나 몽골군에 투항하면 쉽게 붕괴될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1219년 몽골군의 침공에 통일적으로 저항하지 못하고 각 도시가 분산되어 수비하다가 각개격파 당하는 결과로 이어졌다.[1]
4. 2. 군사적 전략 실패
몽골 제국과의 전쟁에서 무함마드는 군대를 집중하지 않고 각 도시에 분산 배치하여 몽골군의 각개격파를 허용했다.[38] 이는 화레즘 제국이 급속한 영토 확장에 비해 지배 체제가 취약했기 때문이었다.[52] 무함마드는 어머니 및 그 친가인 칸그리 부족과의 대립이 깊어, 부족군을 규합해 야전에 임할 경우 유목민들이 전선을 이탈하거나 몽골군에 투항할 위험이 있었다.[38]사마르칸트를 포기하고 서쪽으로 도주한 것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지만,[51] 몽골군을 아무다리야강 남서쪽으로 유인하여 게릴라전을 펼치려는 시도였다는 견해도 있다.[53]
4. 3. 내부 분열과 갈등
화레즘 제국은 급속한 영토 확장에 비해 지배 체제가 취약하여 몽골의 침공에 통일적으로 저항하지 못하고 붕괴되었다.[52] 특히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어머니 테르켄 하툰 및 그 친가인 칸그리 부족과의 대립이 심각했다.[38] 이로 인해 부족군을 규합하여 전투에 임하면, 사이가 좋지 않은 유목민들이 전선을 이탈하거나 몽골군에 투항하여 한 번의 전투로 붕괴될 위험이 있었다.[38]알라 웃딘 무함마드의 사마르칸트 포기와 서쪽으로의 도주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과 옹호적인 시각이 공존한다. 무함마드가 무책임하게 도망쳤다는 비판이 있는 반면,[51] 몽골군을 아무다리야강 남서쪽으로 유인하여 게릴라전을 펼치려는 의도였다는 견해도 있다.[53]
5. 가족 관계
알라 웃딘 무함마드는 알라 웃딘 테키시와 칸클리족 출신 테르켄 하툰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테르켄 하툰은 호라즘 샤 왕조 군사력의 핵심인 칸클리족의 지도자적 지위에 있었으며, 술탄과 동등한 권력을 가졌다.[11] 알라 웃딘이 획득한 영토 대부분은 테르켄 하툰에게도 분배되었고,[12] 그녀의 측근은 왕이라도 처벌할 수 없었다.[13]
알라 웃딘 무함마드의 비와 자녀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잘랄 웃딘 멩구베르디의 어머니는 인도 출신이다.[54]
- 기야스 웃딘 피르 샤의 어머니는 베글루 아이다.[55]
- 우즈라그 샤의 어머니는 바야우트부 출신이다.[30]
테르켄 하툰과 알라 웃딘의 딸이 몽골군 포로가 되었을 때, 상기 자식 외에 여러 왕자들이 처형되었다.[56]
5. 1. 부모
호라즘 샤 왕조의 술탄 알라 웃딘 테키시와 튀르크계 유목민 칸클리족 출신의 테르켄 하툰(图儿干合敦중국어) 사이에서 태어났다.[10]어머니 테르켄 하툰은 호라즘 샤 왕조 군사력의 핵심인 칸클리족의 지도자적 지위에 있었으며, 술탄과 동등한 권력을 가졌다.[11] 알라 웃딘이 획득한 영토 대부분은 테르켄 하툰에게도 분배되었고,[12] 그녀의 측근은 왕이라도 처벌할 수 없었다.[13]
5. 2. 비
- 잘랄 웃딘의 어머니는 인도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54]
- 기야스 웃딘의 어머니는 베글루 아이다.[55]
- 우즈라그 샤의 어머니는 바야우트부 출신이다.[30]
5. 3. 자녀
이름 | 설명 |
---|---|
잘랄 웃딘 멩구베르디 | |
기야스 웃딘 피르 샤 | |
루크 누딘 굴샨치 | |
우즈라그 샤 | |
아크 샤 | |
칸 술탄 | 서 카라 한 왕조의 술탄 우스만의 비 |
딸 | 차카타이의 아내[56] |
딸 | 차카타이의 집사 하바슈 아미드의 아내[56] |
딸 | 칭기스 칸의 시종 다니스만드의 아내 |
참조
[1]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The Delhi Sultanat (A.D. 1206-1526)
https://books.google[...]
The Indian History Congress / People's Publishing House
[2]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vol. IV
https://books.google[...]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
[3]
서적
Enc. Islam, article: Muhammad, Mu'izz al-Din
https://books.google[...]
[4]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ABC-CLIO
[5]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Medieval India: From Twelf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Dorling Kindersley Pvt.
[6]
서적
The Empire of the Qara Khitai in Eur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Palgrave Concise Historical Atlas of Central Asia
Palgrave Macmillan
[8]
서적
A History of Inner As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https://books.google[...]
Bantam
[1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1]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3]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5]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6]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7]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8]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9]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1]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3]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5]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6]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7]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8]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9]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1]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3]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5]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6]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7]
논문
[38]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上)軍事拡大の時代
[39]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1]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3]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5]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6]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7]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8]
문서
ヴァン湖北岸の都市
[49]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5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51]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52]
서적
中国史
[53]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上)軍事拡大の時代
[5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55]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56]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